패션정보 및 제작정보
🧵 의류 제작 시 꼭 알아야 할 봉제 사양 6가지 – 초보도 이해하는 봉제 입문
웨어스티치 | 이림패션
2025. 6. 30. 10:33
728x90
SMALL
티셔츠, 셔츠, 자켓… 겉으로 보기엔 옷이지만, 제작자의 입장에서 보면 옷은 결국 ‘봉제 사양의 조합’입니다.
의류를 처음 제작하려는 셀러나 디자이너분들이 가장 자주 실수하는 것이 바로 봉제 방식에 대한 무지입니다. 오늘은 실제 제작 현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6가지 핵심 봉제 방식을 예시와 함께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오바로크 (Overlock)
- 용도: 대부분의 티셔츠, 맨투맨, 팬츠 옆선 등에서 사용
- 특징: 옷감이 풀리지 않도록 끝을 감싸주는 가장 기본적인 봉제 방식
- 장점: 빠르고 경제적, 대량 생산에 적합
- 주의: 올이 쉽게 풀리는 원단에는 마감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음
💡Tip: 오바로크는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고, 인바이와 함께 쓰이기도 합니다.
2️⃣ 인바이 (Coverstitch / Inbinding)
- 용도: 티셔츠 밑단, 소매단, 허리단 등 마감용
- 특징: 두 줄 스티치로 평평하게 눌러주는 방식
- 장점: 깔끔한 외관, 튼튼한 마감, 고급스러운 인상
- 단가: 오바로크보다 소폭 높음
💡Tip: 고급 브랜드 티셔츠의 밑단을 보면 대부분 인바이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3️⃣ 삼봉 (Triple Stitch)
- 용도: 데님, 워크웨어, 아우터류 등 튼튼한 봉제가 필요한 부분
- 특징: 3줄의 봉제선으로 내구성을 높임
- 장점: 강한 내구성과 빈티지 감성, 장식 효과
- 단가: 일반 봉제 대비 약간 높음 (봉제공정 1회 추가)
💡Tip: 데님 바지 뒷주머니나 사이드심을 보면 삼봉 처리된 경우가 많습니다.
4️⃣ 본딩 처리 (Bonding)
- 용도: 기능성 아우터, 무봉제 스타일, 고급 자켓 등
- 특징: 바느질 없이 열이나 압력으로 옷감을 접착
- 장점: 깔끔한 외관, 생활 방수, 얇고 가벼운 착용감
- 단점: 수선 어려움, 장기 사용 시 접착력 저하
💡Tip: 고급 스포츠웨어, 테크웨어 브랜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5️⃣ 갈라삼봉 (Flatseam / 갈라삼)
- 용도: 스포츠웨어, 요가복, 레깅스 등 신축성 높은 옷
- 특징: 솔기 부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평평하게 봉제
- 장점: 피부 자극 최소화, 편안한 착용감
- 단가: 일반 삼봉보다 공정과 장비 비용이 높음
💡Tip: 나이키, 룰루레몬 등의 고급 기능성 의류에서 볼 수 있습니다.
6️⃣ 쌍침 봉제 (Double Stitch)
- 용도: 캐주얼 셔츠, 자켓, 후드 등 전체 외관 포인트
- 특징: 평행하게 두 줄 스티치, 외관 강조용
- 장점: 장식성과 내구성 동시에 확보
- 활용: 디자인 포인트용으로도 자주 사용
💡Tip: 디자이너가 원하는 무드를 표현할 때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봉제입니다.
📌 마무리 정리: 어떤 옷에 어떤 봉제를 써야 할까?
봉제 방식 | 추천 품목 | 특징 |
---|---|---|
오바로크 | 티셔츠, 팬츠, 이너류 | 기본 마감 / 저단가 |
인바이 | 티셔츠 밑단, 소매 | 깔끔한 마감 / 고급스러움 |
삼봉 | 데님, 워크웨어 | 내구성 / 빈티지 스타일 |
본딩 | 아우터, 기능성웨어 | 무봉제 / 방수 / 가벼움 |
갈라삼봉 | 레깅스, 요가복 | 피부 마찰 없음 / 착용감 |
쌍침 | 셔츠, 후드, 자켓 | 디자인 강조 / 보강 효과 |
봉제 방식은 제품의 단가와 브랜드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처음 제작할 땐 공장과 충분히 상의하며, ‘어떤 봉제 방식이 이 제품에 가장 적합한가?’를 함께 결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