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생산 전 필수 체크리스트! 꼭 기억하세요❗️
디자이너・셀러가 놓치기 쉬운 10가지 실수와 해결 팁을 알려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웨어스티치입니다!
오늘은 의류 제작을 처음 시도하시는 분들, 혹은 몇 번 제작을 해보았지만 공장과의 소통이 어려웠던 디자이너/셀러 분들께 꼭 도움이 될 내용을 준비했어요.
의류 생산은 단순히 디자인만 잘한다고 성공하는게 아니죠. 실제 공장과의 커뮤니케이션, 생산 전 확인해야 할 포인트, 놓치기 쉬운디테일들이 제품의 완성도와 일정, 원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저희가 준비했습니다‼️
의류 제작 전에 꼭 확인해야 할 필수 체크리스트10가지
이 포스팅 하나로, 앞으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미리 줄이실 수 있을 거에요🥹
✅ 01. 원단 수축률 체크 안 하면 '사이즈 미스' 발생!
실제 사례 : 면 100% 원단으로 티셔츠 제작 샘플 후 세탁 진행 2cm 이상 수축발생
원단은 종류에 따라 수축률이 다릅니다. 면, 린넨, 레이온 등은 특히 세탁 후 수축이 심하죠.
생산 전에 반드시 원단을 1번 세탁해 수축률을 측정하고, 패턴에 반영해야 합니다.
특히 티셔츠, 팬츠, 셔츠류는 세탁 수축률에 따라 완제품 사이즈가 확 달라질 수 있어요!
✔️TIP.
• 원단 업체나 공장에 '신세탁 여부'를 꼭 확인해보세요.
• 수축률 테스트용 샘플 원단을 따로 받아 테스트하면 정확해요.
✅ 02. 패턴 사이즈 스펙 확인 없이 제작 진입
디자인이 완성됐더라도, 패턴 사이즈가 실제 착용감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오버핏, 세미오버, 스탠다드핏 등 핏에 따른 기준이 다르기 떄문에 구체적인 사이즈 표(SPEC)를 공장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해요.
✔️TIP.
• 총장 / 가슴단면 / 어깨 / 소매길이 필수
• 기획 단계에서 최소 S, M, L기준 사이즈는 명확히 정리
✅ 03. 봉제 사양을 애매하게 전달
"그냥 일반 봉제로 해주세요" → 실제로 오더한 디테일이 구현되지 않음
오더자가 의도한 느낌을 정확히 구현하려면, 봉제 방식에 대한 정확한 용어와 예시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예시
• 니트 봉제 : 거버스티치, 인터록, 오버록 등 차이
• 팬츠 허리 마감 : 일반 박음, 인밴드, 셔링 처리 등
가능하다면 공장에서 작업한 샘플을 미리 체크해보는 게 제일 좋겠죠??? @_<
✅ 04.부자재 미확인 (단추, 지퍼, 라벨 등)
의외로 많이 발생하는 문제에요.
단추, 라벨, 지퍼, 스트링 같은 부자재가 빠졌거나, 원하는 디자인과 다른 부자재가 사용되는 경우.
✔️확인할 것
• 라벨/택 디자인은 샘플로 먼저 확인하기
• 금속 부자재는 색상, 도금 방식까지 지정
• 단추 사이즈(mm)단위로 명확히 기재
✅ 05.컬러 차이(염색차이) 확인 없이 태량 진행
특히 원단 염색 고정이 들어간 경우, 소량 샘플과 대량 생산 시 컬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체크포인트
• Lab Dip(래브딥) 테스트 요청 : 원단 염색 샘플을 먼저 받아 확인
• 동일한 Pantone컬러코드로 제작하더라도 원단 종류에 따라 발색이 다름
• 컬러 민감 제품은 컬러 컨펌 후 제작 필수
✅ 06.봉제 전용 기계 확인 안 하고 특수 디테일 넣기
요즘 인기 있는 크링클, 카브라, 바이오 워싱, 또는 컷오프, 너털 스트치 같은 디테일은 공장마다 기계 유무가
다릅니다.
✔️TIP.
• 디자인 기획 시, 해당 디테일을 구현 가능한지 미리 공장에 꼭 확인이 필요해요.
• 샘플링 단계에서 가능한 봉제 범위를 가늠해보는 것이 좋아요.
✅ 07. 사이즈 라벨, 케어라벨 누락
국내 판매용 의류는 기본적으로 케어라벨이 법적으로 필요해요.
사이즈 라벨, 브랜드 라벨과 함께 제작 의뢰자가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리 확인해야하는 사항
• 케러라벨 정보 기재 여부(혼용률, 제조사명, 제조국, 세탁법 등)
• 라벨 부착 위치
• 공장에서 라벨을 제작해주는지 여부
✅ 08. 납기일(생산 기간) 미확인
"언제쯤 나올까요?" 라고 대충 물어보기보단, 구체적인 납기 스케줄을 서로 정해두는 게 중요합니다.
특히 성수기(3월, 11월)에는 생산 기간이 2배 이상 늘어날 수 있어요.
✔️체크리스트
• 샘플 납기 / 본생산 시작일 / 최종 납기일 각각 확인
• 가능하면 계약서 or 카톡 등으로 텍스트 증빙 남겨두기
✅ 09. 검사기준 불명확 / 불량 발생 시 분쟁 위험
의류 생산에서 100%완벽한 제품은 없습니다. 다만, 공장에서 불량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조율이
필요해요.
✔️예시
• 실밥, 오일 자국, 봉제 틀어짐, 원단 하자 허용 수준
• 볼량률이 몇 %이내면 허용 가능한지
검품 기준을 정해두면 불량 대응도 빠르고 공정하게 할 수 있어요.
✅ 10. 샘플만 보고 본생산 바로 진행하는 실수
샘플 OK 후 곧장 본생산 들어갔다가, 실제 대량 제품에서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대량 봉제에선 작업자, 공정, 컨디션이 샘플과 다르기 때문이죠.
✔️ 꼭 해야해요🥲
• 선생산 샘플 확인
• 본생산 전 3~5장 정도 먼저 뽑아 최종 검토
• 패킹, 라벨 부착 상태도 함께 확인
💡 마무리하며 : 좋은 제작 파트너와의 협업이 반입니다!
의류제작은 절대 혼자서 할 수 없습니다.
디자이너/샐러의 준비 + 공장의 생산력 +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맞물릴 때 퀄리티 있는 결과물이 나옵니다.
위에서 소개한 10가지 체크리스트는 현장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실수들을 기반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만 잘 숙지하고 적용하셔도, 제작 시 발생하는 문제 확률을 절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혹시 의류 제작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나
직접 생산 의뢰를 고민하고 계시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실제 제작에 도움이 되는 실무형 상담, 친절하게 도와드리겠습니다 :)
📞 070-4647-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