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정보 및 제작정보

👕의류 생산 전 필수 체크리스트! 꼭 기억하세요❗️

728x90
SMALL

 

디자이너・셀러가 놓치기 쉬운 10가지 실수와 해결 팁을 알려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웨어스티치입니다!

오늘은 의류 제작을 처음 시도하시는 분들, 혹은 몇 번 제작을 해보았지만 공장과의 소통이 어려웠던 디자이너/셀러 분들께 꼭 도움이 될 내용을 준비했어요.

의류 생산은 단순히 디자인만 잘한다고 성공하는게 아니죠. 실제 공장과의 커뮤니케이션, 생산 전 확인해야 할 포인트, 놓치기 쉬운디테일들이 제품의 완성도와 일정, 원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저희가 준비했습니다‼️

 

의류 제작 전에 꼭 확인해야 할 필수 체크리스트10가지

이 포스팅 하나로, 앞으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미리 줄이실 수 있을 거에요🥹

 

01. 원단 수축률 체크 안 하면 '사이즈 미스' 발생!

실제 사례 : 면 100% 원단으로 티셔츠 제작 샘플 후 세탁 진행 2cm 이상 수축발생

원단은 종류에 따라 수축률이 다릅니다. 면, 린넨, 레이온 등은 특히 세탁 후 수축이 심하죠.

생산 전에 반드시 원단을 1번 세탁해 수축률을 측정하고, 패턴에 반영해야 합니다.

특히 티셔츠, 팬츠, 셔츠류는 세탁 수축률에 따라 완제품 사이즈가 확 달라질 수 있어요!

✔️TIP.

• 원단 업체나 공장에 '신세탁 여부'를 꼭 확인해보세요.

• 수축률 테스트용 샘플 원단을 따로 받아 테스트하면 정확해요.

 

02. 패턴 사이즈 스펙 확인 없이 제작 진입

디자인이 완성됐더라도, 패턴 사이즈가 실제 착용감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오버핏, 세미오버, 스탠다드핏 등 핏에 따른 기준이 다르기 떄문에 구체적인 사이즈 표(SPEC)를 공장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해요.

✔️TIP.

• 총장 / 가슴단면 / 어깨 / 소매길이 필수

• 기획 단계에서 최소 S, M, L기준 사이즈는 명확히 정리

 

03. 봉제 사양을 애매하게 전달

"그냥 일반 봉제로 해주세요" → 실제로 오더한 디테일이 구현되지 않음

오더자가 의도한 느낌을 정확히 구현하려면, 봉제 방식에 대한 정확한 용어와 예시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예시

• 니트 봉제 : 거버스티치, 인터록, 오버록 등 차이

• 팬츠 허리 마감 : 일반 박음, 인밴드, 셔링 처리 등

 

가능하다면 공장에서 작업한 샘플을 미리 체크해보는 게 제일 좋겠죠??? @_<

 

04.부자재 미확인 (단추, 지퍼, 라벨 등)

의외로 많이 발생하는 문제에요.

단추, 라벨, 지퍼, 스트링 같은 부자재가 빠졌거나, 원하는 디자인과 다른 부자재가 사용되는 경우.

✔️확인할 것

• 라벨/택 디자인은 샘플로 먼저 확인하기

• 금속 부자재는 색상, 도금 방식까지 지정

• 단추 사이즈(mm)단위로 명확히 기재

 

05.컬러 차이(염색차이) 확인 없이 태량 진행

특히 원단 염색 고정이 들어간 경우, 소량 샘플과 대량 생산 시 컬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체크포인트

• Lab Dip(래브딥) 테스트 요청 : 원단 염색 샘플을 먼저 받아 확인

• 동일한 Pantone컬러코드로 제작하더라도 원단 종류에 따라 발색이 다름

• 컬러 민감 제품은 컬러 컨펌 후 제작 필수

 

06.봉제 전용 기계 확인 안 하고 특수 디테일 넣기

요즘 인기 있는 크링클, 카브라, 바이오 워싱, 또는 컷오프, 너털 스트치 같은 디테일은 공장마다 기계 유무가

다릅니다.

✔️TIP.

• 디자인 기획 시, 해당 디테일을 구현 가능한지 미리 공장에 꼭 확인이 필요해요.

• 샘플링 단계에서 가능한 봉제 범위를 가늠해보는 것이 좋아요.

 

07. 사이즈 라벨, 케어라벨 누락

국내 판매용 의류는 기본적으로 케어라벨이 법적으로 필요해요.

사이즈 라벨, 브랜드 라벨과 함께 제작 의뢰자가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리 확인해야하는 사항

• 케러라벨 정보 기재 여부(혼용률, 제조사명, 제조국, 세탁법 등)

• 라벨 부착 위치

• 공장에서 라벨을 제작해주는지 여부

 

08. 납기일(생산 기간) 미확인

"언제쯤 나올까요?" 라고 대충 물어보기보단, 구체적인 납기 스케줄을 서로 정해두는 게 중요합니다.

특히 성수기(3월, 11월)에는 생산 기간이 2배 이상 늘어날 수 있어요.

✔️체크리스트

• 샘플 납기 / 본생산 시작일 / 최종 납기일 각각 확인

• 가능하면 계약서 or 카톡 등으로 텍스트 증빙 남겨두기

 

09. 검사기준 불명확 / 불량 발생 시 분쟁 위험

의류 생산에서 100%완벽한 제품은 없습니다. 다만, 공장에서 불량 기준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조율이

필요해요.

✔️예시

• 실밥, 오일 자국, 봉제 틀어짐, 원단 하자 허용 수준

• 볼량률이 몇 %이내면 허용 가능한지

검품 기준을 정해두면 불량 대응도 빠르고 공정하게 할 수 있어요.

 

10. 샘플만 보고 본생산 바로 진행하는 실수

샘플 OK 후 곧장 본생산 들어갔다가, 실제 대량 제품에서 이슈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대량 봉제에선 작업자, 공정, 컨디션이 샘플과 다르기 때문이죠.

✔️ 꼭 해야해요🥲

• 선생산 샘플 확인

• 본생산 전 3~5장 정도 먼저 뽑아 최종 검토

• 패킹, 라벨 부착 상태도 함께 확인

 
💡 마무리하며 : 좋은 제작 파트너와의 협업이 반입니다!
 

 

의류제작은 절대 혼자서 할 수 없습니다.

디자이너/샐러의 준비 + 공장의 생산력 +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맞물릴 때 퀄리티 있는 결과물이 나옵니다.

위에서 소개한 10가지 체크리스트는 현장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실수들을 기반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이 체크리스트만 잘 숙지하고 적용하셔도, 제작 시 발생하는 문제 확률을 절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 혹시 의류 제작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나

직접 생산 의뢰를 고민하고 계시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실제 제작에 도움이 되는 실무형 상담, 친절하게 도와드리겠습니다 :)

 

📞 070-4647-3100

 

728x90
LIST